베블런 효과와 유한계급론

    보편적으로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인 경제현상입니다. 그런데 가격이 올라도 수요에 변화가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런 현상을 베블런효과라 합니다. 왜 비쌀수록 잘 팔리는지 설명하고 있는 베블런효과와 이것과  관련된 유한계급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란?

    이 용어는 미국의 사회학자 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이루어진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하며, 부유한 사람들의 과시적 소비행태와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며 상류층의 각성을 촉구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쇼핑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재력이나 지위에 대한 과시욕구가 크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수록 매력적이라고 느껴서 충동구매를 하게 됩니다. 또한 자신이 남들보다 특별한 사람으로 보일 거라고 여기기 때문에 명품이나 고급외제차를 구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비쌀수록 잘 팔리는 현상은 한국 사회에서도 흔히 볼수 있는 풍경중 하나인데요. 일부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명품 선호도가 절정에 달해 명품족이라는 말이 등장했으며, 된장녀라는 신조어도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기업입장서는 베블런 효과를 마케팅에 적극 활용해 이들을 공략하는 마케팅기법을 도입하게 되었는데요. 상품의 고급화와 차별화를 내세우기 위해 가격을 올린 뒤 '한정판' 딱지를 붙여 희소성을 강조해 구매를 유도하기도 합니다. 

    자동차, 명품, 와인, 호텔과 같은 다양한 제품은 물론 여행과 관련된 호텔이나 숙박시설 등에서도 활용할수 있는 전략들입니다. 결국 이러한 소비행태는 사치성 소비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가짜명품인 짝퉁이 대량생산되고, 한 나라의 경제규모에 걸맞지 않은 소비가 조장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베블런재 (Veblen goods)

    비싼 보석이나 명품, 고급 자동차 등은 경기와 상관없이 가격이 비쌀수록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국내에 들어온 고가 수입브랜드 중에서도 가장 비싸다고 소문난 에르메스 같은 경우는 주요 인기제품이 천만 원에서 1억 원 대를 호가하며 다른 명품브랜드보다 훨씬 높은 가격으로 책정이 되어 있지만 매출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처럼 고가 상품시장에서 가격이 오르는데도 수요가 늘어나는 현상을 베블런효과라고 하고, 그런 재화들을 베블런재(Veblen goods)라고 합니다. 베블런재는 가격이 내려가면 오히려 수요가 줄어들게 되는데 그 이유는 누구나 살 수 있는 상품이 되어 버리면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는 수단으로써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베블런재 예시


    변호사나 의사 기타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고가의 외제차를 타거나 고급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서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사회적 지위 때문에 이러한 행태를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변호사 같은 경우 고가승용차를 통해 전문직으로서 자기 능력을 의뢰인게 어필하려는 것이고, 고급시계부터 유명 디자이너가 만든 양복 등을 입는 이유도 베블런재의 예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유한계급론과 그에대한 반박

    소스타인 베블런은 1899년 유한계급론에서 일하지 않고 여가를 즐기는 것은 지배계급(유한계급)이 스스로의 지위를 나타내는 징표라고 하였고, 하류계층은 상층에서 유행하는 과시적 소비행태를 모방하고 쫒는다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모습은 이와 정반대인 경우가 많은데요.

     

     

    미국의 콜롬비아 대학의 어느 교수팀은 실험을 통해 '사회 및 경제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은 여가가 아니라 바쁨이다' 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예를 들어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고 두 가지 모습의 사진을 보여준 뒤 실험참가자들에게 그의 지위를 평가하도록 실험을 하였습니다. A사진은 스케줄이 많은 바쁘게 일하는 모습을 담고, b사진은 일하지 않는 여유로운 삶을 즐기는 모습을 담았는데요. 결과는 늘 바쁜 모습에 대한 지위가 더 높다고 참가자들은 평가하였습니다.


    이밖에도 다양한 실험들을 통해서 평가한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은 누구인가에 대해 참가자들은 하나같이 모두 바쁘게 일하는 모습을 담긴 사진을 선택하였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연구진들은 과거에는 시간이 많고, 여유있 삶이 그 사람의 지위를 상징했다면 지금은 바쁘고 여유가 없는 삶의 모습에서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를 대변하는 수단이 되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열심히 일하면 지위가 올라갈 수 있다는 믿음
    • 바쁜 사람이 앞으로도 더 높은 지위에 오를 것이라는 생각
    • 지식경제에서 인적자본이 중요한 사회가 되었기 때문


    한 사람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보여주는 징표는 매년 바뀌는 것 같습니다. 온라인 상에서는 저녁이 있는 삶을 추구하거나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꼭 바쁘게 사는 모습이 그 사람의 지위를 대변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시 여유로운 삶의 모습으로 회귀하는 느낌이랄까요?ㅎ

     

     

    아무튼 자본주의 사회에서 보이지 않는 계급이 존재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남들의 시선을 중요시 여기는 동양권 문화에서는 베블런 효과가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