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체재와 보완재란 뜻과 개념 예시와 사례

감마파이브 2023. 5. 17.

대체재와 보완재는 두 가지 상품이 서로 다른 대체 가능한지 또는 보완 가능한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 경제학의 기본개념입니다. 대체재는 한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이고, 보완재는 한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상품의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입니다. 이들은 시장구조와 경쟁력, 가격탄력성, 소비자 선택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오늘은 대체재와 보완재란 무엇이고, 이것과 관련된 예시와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체재와 보완재란?

대체재(Substitute goods)는 서로 다른 재화인데 같은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재화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말에 꿩 대신 닭이라는 표현을 쓰듯이 꿩과 닭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쌀과 빵, 고기와 생선, 소고기와 돼지고기, 커피와 홍차, 사이다와 콜라 등이 대체재의 예시입니다.

 

 

대체재는 어느 한쪽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상품을 대신 사용하게 되어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때 효용이 조금 더 큰 쪽을 상급재라 하고, 작은 쪽을 하급재라고 합니다. 대체재는 서로 경쟁하는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해서 경쟁재라고도 부릅니다.

 

대체재와 보완재란

 

보완재(Complementary goods)는 2가지 이상의 재화를 사용해서 하나의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재화를 말합니다. 이것은 바늘과 실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자동차와 휘발유, 삼겹살과 상추, 치약과 칫솔, 커피와 설탕 등이 보완재의 예시입다. 보완재는 어느 한쪽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면 다른쪽 재화의 수요도 같이 증가하는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처럼 대체재와 보완재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대체재는 한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보완재는 한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상품의 수요가 감소합니다. 또한 대체재는 서로 경쟁적인 성격을 가지기도 하지만 보완재는 서로 보완적인 성격을 가집니다.

 

대체재와 보완재 예시

대체재와 보완재는 두 가지 상품이 서로 대체 가능한지 또는 보완 가능한지에 따라 구분을 할 수가 있습니다. 대체재는 원래 사용하려던 것이 없으면 그와 유사한 것으로 바꿔 사용한다는 것이고, 보완재는 서로 붙어있어 한가지 용도로 쓰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체재와 보완재를 가장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가격과 수요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인데요. 만약 두 상품이 대체재 관계라면 한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한 상품의 가격이 내리면 다른 상품의 수요가 감소합니다. 반대로 두 상품이 보완재 관계라면 한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상품의 수요도 감소하고, 한 상품의 가격이 내리면 다른 상품의 수요도 증가합니다.

 

대체재와 보완재 예시

 

이러한 대체재와 보완재 예시를 들어서 설명을 드리면 우선 대체재의 경우 쌀과 빵, 고기와 생선, 소고기와 돼지고기, 커피와 홍차, 콜라와 사이다, 버터와 마가린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보완의 경우에는 바늘과 실, 소세지와 핫도그 빵, 자동차와 휘발유,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전자제품과 전자제품의 부품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대체재와 보완재는 서로 다른 효용을 주는 상품과 같이 효용을 주는 상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은 시장 구조와 경쟁, 가격 탄력성, 소비자 선택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대체재와 보완재 사례

국내 굴지의 맥주회사가 소주회사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소주와 맥주를 대체재로 봐야 할 것인지, 보완재로 봐야 할 것지가 공정거래 논의대상으로 떠오른 적이 있었습니다. 만약 소주와 맥주가 경쟁관계에 있는 대체재로 판단되면 맥주시장과 소주시장은 서로 분리된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주와 맥주가 보완재라면 하나의 거대 시장이 되는데, 이럴 경우 대형 맥주회사가 소주시장까지 장악하게 되면서 독과점 폐해가 생겨 소비자들이 피해를 보게 됩니다. 소주를 마시면서 맥주를 함께 마셔야 한다면 둘은 보완재가 되고, 소주를 마실 경우 맥주는 마시지 않는다면 둘은 대체재가 됩니다.

 

결국 공정거래위원회는 소주와 맥주시장은 소비계층이 다르고, 계절적으로 소비량도 크게 다른 만큼 시장이 서로 다른 보완재라고 인정해 인수를 승인해주었습니다.

 

이 밖에 사례로는 코로나19로 인해 영화관의 수요가 감소하였습니다. 이때, 소비자들은 영화관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기 시작하였고, 그 대안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넷플릭스와 같은 OTT서비스를 찾았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영화관과 OTT서비스는 대체재 관계에 있습니다.

 

 

보완재의 사례로는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인해 카메라 수요가 감소했습니다. 이때, 카메라 제조사들은 카메라의 품질과 기능을 개선하고, 카메라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악세서리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소비자들에게 제공하였습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와 악세서리, 소프트웨어 등은 보완재 관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댓글